본문 바로가기
정보

결혼식 하객 예절

by 동그라미S2 2025. 2. 4.
반응형

 

결혼식

 

1. 결혼식 예절

 

결혼식 예절은 문화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, 일반적으로 지켜야 할 몇 가지 기본적인 예절이 있습니다.

 

  • 참석 여부: 결혼식 청첩장을 받으면 가능한 한 빨리 참석 여부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 참석할 수 없다면 정중하게 사전에 통보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결혼식 복장: 일반적으로 결혼식은 격식 있는 자리이므로 정장이나 세미, 캐주얼 정장처럼 깔끔한 복장이 좋습니다. 
    • 과한 악세사리, 화려한 패턴무늬, 신부보다 하얀 의상 착용 삼가 
    • 운동화보단 깔끔한 단화나 구두 착용 추천
  • 축의금:  일반적으로 하객들이 결혼식에 참석할 때 축의금을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축의금은 신랑신부에게 축하의 마음을 전하고, 결혼식 비용의 일부를 보조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청첩장에 기재된 계좌로 축의금을 보내거나 선물을 하기도 합니다.
    • 가까운 가족: 50만 원 이상
    • 친한 친구: 30만 원에서 50만 원
    • 지인: 10만 원에서 30만 원
    • ※ 이 금액은 대략적인 기준일 뿐이며, 개인의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. 축의금은 신랑신부에게 축하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므로, 자신의 마음을 담아 적절한 금액을 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  • 시간 준수: 결혼식 시작 시간에 맞춰 도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늦지 않도록 미리 도착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사진 촬영: 결혼식 중에는 신랑신부와 하객의 사진 촬영에 대한 예의를 지켜야 합니다. 전문 사진작가가 있는 경우,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  • 식사 예절: 결혼식에서 제공되는 음식이나 음료를 즐길 때는 기본적인 식사 예절을 지켜야 합니다. 대화 중에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, 과한 음주는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 
  • 축하 인사: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를 만났을 때는 진심 어린 축하를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간단하고 예의 바른 축하의 말을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2. 결혼식 축의금 봉투 작성 방법

 

봉투

 

 

  • 봉투 앞면 작성
    • '축결혼', '결혼을 축하합니다', '축하합니다' 등의 문구를 적습니다. 
  • 봉투 뒷면 작성
    • 보내는 사람 이름: 봉투의 뒷면 하단에 자신의 이름을 적습니다. 
    • 관계 또는 소속: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으니 소속명이나 회사명 등의 관계를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. 
  • 봉투 봉합
    • 봉투를 잘 봉합하여 내용물이 빠지지 않도록 합니다.
  • 전달 방법
    • 결혼식 당일에 직접 전달하거나, 결혼식 후에 신랑신부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